아프리카식 로마자

가독성, 명확성, 그리고 개성을 갖춘 새로운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와카마츠 하루키 (若松 春希 / 약송 춘희)의 발명

View in English

목차

소개

아프리카식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프리카 언어의 라틴 문자 변형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처음 보면 낯설 수 있지만, 이 시스템은 놀랍도록 간단하고 배우기 쉽습니다.

Apɥlikasig Hangug’ɔ lomaja pyogibɔb’ɥn Apɥlika ɔn’ɔɥi Latin munja byɔnhyɔŋesɔ yɔŋgam’ɥl bad’aȿsɥbnida. Cɔɥm bomyɔn nacsɔl su iȿjiman, i sisɥtem’ɥn nollabdolog gandanhago bɛugi swibsɥbnida.

이 아이디어는 제가 레딧에 올린 게시물에서 시작되었는데,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특징

특수 문자

아프리카식 로마자 표기법은 다음 특수 문자를 사용합니다.

한글과의 직접적인 대응

아프리카식 로마자 표기법은 정보 손실 없이 한글과 상호 변환이 가능합니다. 위키백과의 예시 문장 (“못하는 사람이”) 을 사용하면:

“풀어쓰기”의 구현

한글은 자모를 블록으로 조립하는 “모아쓰기” 시스템으로 작성됩니다. 역사적으로 1908년 12월부터 서양식 가로쓰기를 도입하면서 “풀어쓰기”로 전환하는 논의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결과가 없었습니다.

⟨ㅇ⟩가 음절 블록의 시작 부분에서는 무음이고 끝 부분에서는 /ŋ/로 발음되기 때문에, 풀어쓰기에서 무음인 ⟨ㅇ⟩를 생략하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자모를 수평으로 나열하는 것은 손으로 쓸 때 느리고, 무음 ⟨ㅇ⟩를 생략할 경우 ⟨ㅐ⟩와 ⟨ㅏㅣ⟩와 같은 순서에서 모호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식 로마자 표기법은 이 풀어쓰기 아이디어를 구현한 것입니다. 초성 “ㅇ” (무음) 과 종성 “ㅇ” (/ŋ/) 을 구분하여 표기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과 비교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은 현재 한국어 로마자 표기의 공식 표준입니다.

장점

단점

표기법 설명

알파벳 순서

한글 비고
A a
B b
C c
Ƈ ƈ 세레르어 /ʄ̊/
D d
E e
Ɛ ɛ 다양한 아프리카 언어
G g
H h
I i
J j
K k
Ƙ ƙ 하우사어 /k’/, 범나이지리아 알파벳
L l
M m
N n
Ŋ ŋ ㅇ (받침만) 다양한 아프리카 언어
O o
Ɔ ɔ 다양한 아프리카 언어
Ø ø ㅚ 만 사미어 /oe/ 이중모음 기반
P p
Ƥ ƥ 세레르어 /ɓ̥/
S s
ȿ 과거 쇼나어 /sʷ/, 현재 “sv”
T t
Ƭ ƭ 세레르어 /ɗ̥/ (아프리카 참조 알파벳)
U u
ɥ Dan어 /ɯ/
W w (ㅘ, ㅝ 등)
Y y (ㅑ, ㅕ 등)
(받침 후 ㅇ)

한글 순서

한글 대문자 소문자
G g
N n
D d
L l
M m
B b
S s
(아래 “ㅇ 규칙” 참조)
J j
C c
K k
T t
P p
H h
Ƙ ƙ
Ƭ ƭ
Ƥ ƥ
ȿ
Ƈ ƈ
한글
A a
Ɛ ɛ
YA ya
Ɔ ɔ
E e
YE ye
O o
WA wa
ㅚ* Ø ø
YO yo
U u
WE we
WI wi
YU yu
ɥ
ꞍI ɥi
I i
ㅡ이* Ɥ’I ɥ’i

ㅇ 규칙

상황
받침 /ŋ/ (종성) Ŋ ŋ
받침 후 초성 ㅇ (종성이 “ㅇ” /ŋ/이 아닌 경우)
“ㅡ이” 연속에서
모음 후 또는 단어 시작에서 (없음)

한글 ↔ 로마자 변환

이 도구는 hangul-js로 구동됩니다.

이 도구는 각 문장의 첫 단어를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다른 문자를 대문자로 변경하려면 “선택 문자 대소문자 전환” 버튼을 사용하세요.

아프리카식 로마자 입력

이 키보드는 위의 “한글 ↔ 로마자 변환” 섹션의 출력 상자에 영향을 줍니다.

기부하기
Haley Halcyon이 ♥을 담아 코딩했습니다